지표면 아래 깊숙한 곳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오랜 시간 동안 까다로운 조건의 열과 압력을 통해 희소성을 지닌 광물이 만들어진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부와 아름다움, 그리고 권력의 상징으로도 받아들여진 보석은, 일반적으로 색채와 광택이 아름답고 산출량이 적어 진귀한 광물들을 일컫는다.
ⓒ Photo by Carole Smile on Unsplash
그 희소성과 아름다움으로 인해, 보석은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을 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자연스럽게도 역사 속 권력을 가진 자들은 보석을 얻기 위해 피지배자들의 노동력을 활용했고, 특히 아프리카 등 천연 자원이 보존된 지역에서는 대규모의 보석 광산이 발견된 후 식민지배나 전쟁과 관련된 피의 역사가 쓰여지기도 했다.
©Imagetoday
Ⓒ Gems & Gemology Winter 2013 cover displays a diamond octahedral crystal in kimberlite matrix. Photo by Robert Weldon/GIA
오늘날 알려진 지구상의 광물은 3,700여 종 이상이 있다. 그러나 아름답고 희귀하여 우리가 ‘보석’으로 여기는 광물은 100종 정도에 그친다. 보석 중에는 지표면 아래에서 형성되는 광물 외에도 진주나 산호, 호박 등 유기체에 의해 발생한 물질도 보석으로 취급되며, 과학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다이아몬드를 인공적으로 생산할 수도 있게 되었다.
©Pixabay, Bernstein-6579
한눈에 보아도 신비롭고 아름다우며 매우 희귀한 보석. 흔히 장식의 용도로 사용되는 보석에는 다이아몬드, 에메랄드, 루비와 사파이어 등이 높은 가치를 지녔으며, 세공 과정을 거쳐 장신구로 활용된다. 보석은 시대에 따라 유행하는 스타일의 세공법이 있으며, 그 역사만큼이나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17세기 말 이탈리아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1919년 Marcel Tolkowsky가 발전시킨 Brilliant cut은 다이아몬드 세공 방식 중 가장 유명한 형태로, 빛을 받은 다이아몬드의 반짝거림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해 다이아몬드를 58면체의 다각으로 연마하는 방식이다.
Ⓒ 5.42ct oval cut Burmese ruby. Photo by Robert Weldon/GIA.
Ⓒ Photo by Michael Kelly on Unsplash
한편, 보석을 세공해서 만든 장신구는 오래 전부터 잡귀를 물리친다거나 착용자에게 건강과 재물,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여겨지기도 했다. 그래서 보석을 활용한 장신구는 고대 인류에 의해 종교적, 주술적인 목적으로도 이용됐으며, 왕권의 정통성을 상징하기도 했다.
©BVLGARI
우리는 더 이상 장신구를 착용하면 건강이나 재물운이 찾아온다고 믿지 않는다. 그럼에도 보석은 개성을 드러내는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거나,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는 연인들이 선물하고, 탄생석으로 간직하는 등 미신적인 믿음 없이도 상징적인 의미를 간직한 채 우리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BVLGARI
보석 중 모스 경도 10에 달하며 지구상에서 가장 단단한 광물이라고 불리는 다이아몬드는 금속을 절단하거나 레이저를 투과하는 데 쓰이는 등, 공업용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다이아몬드 외에도 많은 종류의 보석이 첨단 기술의 한 축을 차지하며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Pixabay, Diamond-123338
Ⓒ Photo by Krystal Ng on Unsplash
보석이 보여주는 신비한 빛깔과 그 희소성에 우리는 끊임없이 매료되어왔고, 의미를 부여하며 귀중히 여기거나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을 품어왔다. 그것은 아름다움에 대한 인간의 원초적 본능이라고 보아도 무색하지 않을 것이다.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인간 본능의 결정체, 보석이다.
차주헌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댓글 정렬